90년대 선글라스에서 2020년대 헤어롤까지: 여성 패션에 담긴 시대의 얼굴

패션에 담긴 시대의 얼굴

90년대 선글라스에서 2020년대 헤어롤까지 여성 패션 트렌드 변화는 시시각각 속도가 너무 빠르다. 머리 위의 선글라스 패션과 헤어롤 패션 유행은 사뭇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패션은 늘 시대의 감각을 입고 등장한다. 특히 여성의 머리 위를 장식했던 ‘선글라스’와 ‘헤어롤’이라는 두 아이템은, 단순한 장신구를 넘어 사회적 가치관과 미적 인식의 변화를 말없이 증언한다.
90년대의 성숙한 우아함과 2020년대의 개성 넘치는 실험성은, 각각 선글라스와 헤어롤이라는 상징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난다.

1. 1990년대: 머리 위의 선글라스, 세련됨의 상징

80년대에 이어 90년대도 여성 패션 트렌드 변화는 눈에 띄었다. 특히, 90년대는 성숙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이 중심이었던 시기다. 당시 패션 트렌드는 단정하면서도 자신감 있는 분위기를 강조했고, 선글라스를 머리 위에 얹는 스타일은 그 핵심이었다. 이는 단순한 실용성을 넘어서 패션 감각과 여유, 그리고 어떤 ‘사회적 격식’을 보여주는 장치로 기능했다. 거리를 걷는 여성들 사이에서 선글라스는 일종의 ‘자기관리’이자 ‘스타일의 언어’였다.

여성 패션 트렌드 변화를 보여주는 90년대 선글라스에서 2020년대 헤어롤 스타일 비교

2. 2020년대: 헤어롤이 패션이 된 이유

시간이 흘러 2020년대, 머리 위의 아이템은 전혀 다른 성격을 띠게 된다. 선글라스 대신 헤어롤을 말고 외출하는 여성들이 등장했다. 과거에는 “엄마가 말고 나가면 혼났던” 헤어롤이 이제는 ‘웃기지만 튀는’, 혹은 ‘일부러 그렇게 한’ 패션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는 단순한 유행의 변화를 넘어, 여성들의 자기표현 방식이 근본적으로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과거의 여성들이 ‘보이기 위한 패션’을 했다면, 이제는 ‘나이기 위한 스타일’을 선택하는 시대가 왔음을 의미했다. 사실 2020년대는 예쁜 것보다는 멋진 것을 선호하고 멋진 것보다도 개성있고 튀는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다분하다. 실제 성형으로 얼마든지 예뻐질 수 있으니 전형적인 미인상은 다소 질린다고 여긴 것일지도 모르겠다.

타고난 몸매도 가질 수 없다면 개성으로 승부하거나 모두가 망가지자며 각종 미인 대회 없애고 미인 소리 추녀 소리 조금만 내뱉으면 신고 때리고 쳐다 보지 말라며 딱 붙는 옷 입고 괴상한 스타일로 연출하기 일쑤다. 이건 뭐 봐달라는 것도 아니고 어쩌라는 건지 모르겠다.

90년대 선글라스에서 2020년대 헤어롤까지: 여성 패션에 담긴 시대의 얼굴 전도연 선글라스 하니 헤어롤 1

3. 성숙미에서 코믹미로: 패션의 가치관 전환

이처럼 90년대의 패션이 고급스러움과 여성스러움을 강조했다면, 2020년대는 의도적으로 ‘코믹한 요소’를 차용한다. 이러한 변화는 웃기기 위한 게 아니라, 오히려 ‘나답게 존재하기 위한 자유’를 상징한다. 누군가에게는 ‘코미디’일지라도, 당사자에게는 가장 진지한 표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장신구 변화가 아니라, 여성 주체성의 확장을 보여주는 하나의 문화 코드다.

한편, 이런 생각도 해본다. 성형이 난무하고, 스타일 가이드랍시고 명품 위주의 변질적인 기획에 놀아나다 보니 새로운 세대들은 자생력을 잃은 것이다. 실제 미추를 논할 때 자기 생각이 없게 되어 버리는 거다. 거기다 진짜 인형처럼 생긴 아이돌 스타는 화면 속에서 미를 뽐내는데 그런 비현실적인 미모는 아무리 따라해도 따라할 수 없을 뿐더러 무대위 매력과 현실적인 매력은 천양지차라는 구분도 모호해진 것이다. 그러니 미디어 속 연예인이 차 안에서만 하는 스타일을 일상 아이템으로 따라하는 기이한 일이 생기는 거다.

4. 시대가 바꾼 아름다움의 기준

과거에는 외모를 꾸미는 행위가 ‘이성에게 선택받기 위한 전략’이었다면, 지금은 ‘자기만족과 주체성’이 패션의 중심인 것은 확실하다. 과거 뚱뚱해서 결혼을 못한 여자 개그우먼도 본 적이 있고, 학창 시절에도 뚱뚱하면 놀림을 받던 시대인데 요즘은 뚱뚱한 여성과 마른 남성이 커플이 되는 모습은 흔한 현상이 되어 버렸다. 이성에게 어필하는 기준이 성적 매력이 아닌 성격적 매력으로 전환된 것인지는 몰라도 확실히 과거보다 하향 평준화 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현실적으로 아름답게 태어난 사람은 늘어나고 있는 것도 아이러니하다.
비혼주의, 성평등 인식의 확산은 이제 ‘보이기 위한’ 꾸밈이 아닌 ‘나를 표현하기 위한’ 선택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사회 전체의 미의 기준이 ‘타인의 시선’에서 ‘내면의 감각’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5. 유행이 남기는 것: 자기표현의 언어로서 패션

누가 뭐래도 젊을 때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소중한 일이다. 하지만 단지 주목을 끌기 위한 유행에 휩쓸리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자신을 존중하고 표현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패션은 시대의 언어이자 개인의 태도다. 그 언어가 누군가에게 웃음으로 비치든, 혹은 위엄으로 보이든, 중요한 건 그 선택이 스스로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가이다. 외모 지상주의는 지양되어야 하지만 플라톤도 진선미를 추구했듯 멋진 외모에서 멋진 생각도 나오고 성격도 좋아지기 마련이다.

단순 이목구비나 신체가 출중하다고 미의 기준을 논하는 것은 아니다. 가난해도 품격있게 옷을 입을 수 있고 미모가 출중하지 않아도 자세나 몸가짐으로도 충분히 귀티가 나고 사랑을 받을 수 있다. 특별히 예쁜 구석이 없는데 사랑을 받고 인기가 많은 사람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유는 태도에 있지 그들이 걸치고 다니는 패션 아이템에 있는 것을 본 적이 없다.

1990년대와 유행했던 머리 위로 안경 걸치기 이곳에도 있어요.

스타들이 가장 아름답던 순간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