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의 특성 그리고 오행 변화에 관하여
1.24절기의 특성 및 정의
농경사회에는 계절의 변화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한 일이었고 절기를 중심으로 세상이 돌아갔다.
달을 측정하여 만든 음력과 태양을 중심으로 한 양력 사이에는 11일간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농경수확에는 이로 인한 문제가 있었고 계절과 기후가 일치하는 기준을 가지고 24절기를 만든 것으로 알고 있다.
24절기의 특성 중 춘분을 기점으로 해서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인 황도 360도를 24등분하여 지구가 15도씩 황도를 공전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날을 24절기로 구분한다.
특히 중국과 한국에서는 1년이 시작된다는 것을 태양의 부활로 보며 농사의 시작과 봄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나라 시대에 입춘을 새해의 시작으로 정했다.
그러니까 일 년의 시작인 1월 1일은 편의를 위한 하나의 약속일 뿐이지 계절과 기후와는 연관과 의미가 없다고 본다.
2.사주와 절기의 관계
사주를 작성할 때 기준점은 절기이다.
음력 양력과 무관하게 절기가 중심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생년이나 생월 모두 절기의 절입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3.24절기의 특성

3.1. 인월-입춘
입춘은 사주명리학 입장에서는 시작점으로 본다.
양력 2월 4일 무렵으로 입춘은 새해가 시작되며 봄의 시작점이 된다. 그러니까 사주에서는 입춘이 일년의 시작으로 보는 거다.
입춘은 씨앗이 흙 속에서 싹을 틔우면서 아직 땅위로 나오지 않고 꿈틀거리며 움직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땅속의 생기과 활력이 갓 밖으로 나오려는 때를 의미한다. 추위와 어둠을 물리치는 인寅 중 병화의 기가 땅속에 있다는 뜻이다.
양기가 싹으로 상승하니 목의 발동이 크고 금의 억제가 시작된다.
3.2. 우수
우수는 눈과 얼음이 녹고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시기로 인월의 중기에 해당한다. 천지에 있는 음양의 기운이 만물을 소생하고 양육하는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시기이다. 초목은 비를 맞고 서서히 생장하는 단계로 본다.
3.3. 묘월:경칩
경칩은 겨울잠을 자고 있던 벌레들이 지하의 문이 열리니 지상으로 나오는 때를 의미한다. 개구리가 나온다는 말로 식물의 어린 새싹들도 땅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니 각별한 보호가 필요한 시기이다.
목의 성장 속도가 최고조이다. 수는 윤택하고 화는 점화 준비에 들어간다.
3.4. 춘분
춘분은 봄의 한 가운데로 봄이 앞뒤로 나뉘어지는 분기점이 된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로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입춘부터 춘분까지는 절기상 봄이라고 본다.
양기의 발동으로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가 되어 피부로 직접 체감하는 완연한 봄이다.
3.5. 진월:청명
하늘과 땅이 산뜻하게 맑고 밝은 때로 만물의 생기가 왕성해지는 시기이다. 초목의 눈이 모두 싹을 틔우고 동물 벌레 모두 땅속에 나와 활기가 넘친다.
습토의 브레이크로 과속한 목을 정리 및 완충한다.
3.6. 곡우
곡우는 햇빛이 따뜻해지고 모든 곡식을 자라게 하는 이슬과 비가 자주 내린다는 시기로 봄비가 내리는 시기로 볼 수 있다.
3.7. 사월:입하
입하는 만물이 무성하게 자랄 때이다. 모든 동식물이 제대로 잘 자랄 수 있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다. 입하는 여름의 시작이긴하지만 봄과 같아서 덥지도 춥지도 않은 인간이 살기에 가장 쾌적한 기후로 본다.
3.8. 소만
보리 이삭이 패기 시작하여 조금 만족할 수 있다는 시기로 양기가 왕성하여 초목이 높고 크게 자라는 때로 본다.
3.9. 오월:망종
보리나 밀 등의 까끄라기를 망이라고 하고 볏모를 종이라고 한다. 보리는 다 익어서 먹게 되고 벼는 자라서 모를 심는 시기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화의 극점으로 조열하고 건조하다. 수와 토의 조습 및 냉각 장치가 필요하다.
3.10. 하지
낮이 가장 긴 날로 매미가 울기 시작하는 여름이다. 하지가 되면 양기가 최고로 강해져 음양의 두 기운이 바뀌는 때이므로 경건한 마음 혹은 강건한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몸이 허하지 않게 기호와 욕망을 최대한 절제하였다고 한다.
3.11. 미월:소서
소서를 기점으로 무더운 여름이 시작된다. 소서부터는 땅속에서 1점 음기가 올라오기 시작하는 때이나 지상에는 열기가 극성하여 한기와 열기가 서로 교환하는 때이다. 여름과 가을이 서서히 교체되는 달로 오행상 토로 본다.
장하토로 습열을 거두어 형태를 잡는 시기이다.
3.12. 대서
큰 더위를 의미한다. 매우 무더운 시기이다. 대서부터는 음의 기운이 점점 자라고 양의 기운은 수그러드는데 풀숲에서는 반딧불이 생기고 가끔씩 큰 비가 내리는 계절에 해당한다.
3.13. 신월:입추
양력으로 8월 7~8일경에 해당하며 신申월의 절기이다. 7월은 가을의 첫 달이라 하여 맹추라고도 하는데 이때 추는 곡식을 수확한다는 뜻이다. 절기상 가을에 속하지만 체감상 가장 무더운 여름이다. 그러나 이 날을 기점으로 한낮의 더위는 아침 저녁으로 서서히 물러나기 시작한다.
금의 기세 전환점이다. 수렴, 규범, 분별이 살아난다.
3.14. 처서
더위가 머물러 있다는 뜻이지만 더위와 추위가 교체되어 더위는 점점 사라지고 가을의 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3.15. 유월:백로
하얀 이슬이 생기는 시기란 뜻이다. 가을의 중간으로 중추라고도 한다. 이때부터 바람이 세게 불어오고 기러기가 날아오며 제비는 강남으로 돌아가는 시기로 본다.
금의 정제 및 성숙한 시기며 과한 화와 목을 정리한다.
3.16. 추분
낮과 밤의 길이가 똑같은 날로 낮은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춘분과 같이 태양이 정동 쪽에서 떠서 정서 쪽으로 진다. 추분부터는 차츰 양기가 왕성해졌던 봄과 달리 음이가 왕성해져 서늘한 기운이 들고 양기가 점점 약해져 물이 마르기 시작하며 동면을 하는 벌레들은 서서히 흙으로 입구를 막기 시작한다.
3.17. 술월:한로
찬 이슬이 내린다는 뜻으로 계추라고도 하며 가을의 끝이 된다. 농촌에서는 곡식을 걷어 들이는 시기로 국화가 피는 시기이다.
조토의 마무리로 수를 맞을 준비를 한다.
3.18. 상강
가을의 기운이 마무리되는 시점으로 서리가 내리는 시기이다. 하늘은 점점 차가워져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고 소슬바람이 차가워져 산천초목에 단풍이 들고 벌레들은 모두 땅속으로 들어간다.
3.19. 해월:입동
입동은 양력으로 11월 7일경이고 해亥월의 절기이다. 절입상으로 겨울이지만 기온은 아직 가을에 머물러 겨울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물과 땅이 서서히 얼기 시작하니 만물은 겨울준비를 끝내는 시절이다. 사람들도 겨울 추위를 맞이하기 위해 두터운 옷을 입기 시작할 때이다.
3.20. 소설
소설은 양의 기운은 점점 사라지고 음의 기운이 더욱 성해져 하늘에서 적은 눈이 오고 땅은 서서히 얼어가는 시기를 의미한다. 천기는 상승하고 지기는 하강하여 서로 소통되지 않아 막히는 시절이다.
3.21. 자월:대설
큰 눈이 내리는 시기로 모든 초목은 지하에서 잠을 자고 냉혈동물은 이미 동면을 하는 때이다.
3.22. 동지
일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로 음기가 최고로 강한 때이지만 이 날부터 양기가 시작되어 일조시간이 하루에 2분씩 증가한다. 음에 밀렸던 양의 기운이 서서히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여 음양이 다투는 까닭에 만물의 내부에서는 생명의 힘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때로 과거부터 팥죽을 쑤어 양의 기운을 맞이하며 명절로 삼은 이유다.
3.23. 축월:소한
겨울의 끝이라는 소한은 계동이라고도 한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1년 농사일정을 짜며 농기구를 정비하거나 곡식의 종자를 좋은 것으로 고르며 봄을 기다리는 시기이다.
한습토가 굳혀 저장고를 닫는다. 봄을 향한 전환점이다.
3.24. 대한
24절기의 끝으로 추위가 가장 큰 때를 의미한다.